comment 0

시대를 거슬러 다시 HDD

SSD의 보급은 새로운 세상으로 인도였다. 나는 그렇게 생각했다. 그러면서 가급적 외장 저장장치로 SSD를 추구해왔다. 그 결과 삼성 T1 SSD 500GB짜리 두개를 보유하게 되었다. 그러던 와중에 다시 HDD를 그것도 외장형 하드를 살것이라는 생각은 못했었다. 하지만 시간을 거슬리는 오래된 후진 기술의 HDD를 또다시 만나게 됐다.

WD mypassport Wireless Pro 라는 제품이다.

용량은 3테라 바이트로 SSD 두개를 합쳐 1 테라에 비하면 거의 3곱절이다.

 

나는 왜 샀을까?

L1020067.jpg

2주 동안의 유럽 여행을 통해(라고 쓰고 학교에 호출되어 혼나러 갔다고 읽는다.), 찍어 놓았던 동영상이 500GB짜리 SSD하나로 벅차다는 결과와, 점점 늘어나는 촬영용 장비들(소규모), 또 SD카드에서 백업 하려면 컴퓨터에 연결해야 한다라는 점에서, 이 모든것을 한방에 해결할 수 있는 녀석을 선택해야 했다. 아니 때마침 이에 해당되는 제품이 발매 되었기에 냉큼 집어왔다. 혹자들은 이 장비에 다양한 영상물을 넣은후에 WIFI로 연결(5ghz, 2.4ghz)하여 아이폰이나 랩탑으로 스트리밍해서 본다는 사람들도 있고… 하긴 SSD가 많이 저렴해졌다한들 아직 용량으로는 HDD의 경쟁이 되지 않고, iPhone같이 확장이 불가한 경우 요긴하리라 본다.

L1020057.jpg

나에겐 백업이 중요

L1020065.jpg

백업이 중요하다는 것은 그만큼 요즘 영상장비들의 데이터 크기가 무지막지다하는 것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SD카드를 ( MicroSD)수십장 사서 가지고 다니는것이 옳겠지만, 이 또한 분실의 위험성도 있고, 너무 많다면 헷갈릴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하드이지만 3테라의 용량이 모든것을 해결했다.

백업하는 방법도 중요

기존에는 PC에 있는 SD리더기에 SD카드를 삽입하고, USB로 연결된 SSD로 데이터를 전송했다. 컴퓨터는 중계기 역할을 했다. 하지만 PC가 없을때는 데이터를 SSD에 전송할 수 없다는 맹점이 있다. 하지만 , 이 제품에는 SD 리더가 달려 있다. SD 카드를 넣으면 (설정을 통해) , 바로 자신의 HDD안으로 백업을 해버린다.

L1020063.jpg

전원은?

HDD이다보니, 아니 전자제품은 전기를 공급해줘야 한다. 이 제품은 파워뱅크 역할도 한다. 즉 USB로 연결할 경우 백업도 가능하지만 충전도 가능하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하지만 그 용량이 6000 정도라서, 그냥 백업용으로만 쓰기로 했다.

L1020060.jpg

이 제품 자체를 충전하려면 USB 3.0 포트를 이용하여 USB충전기에 꽂으면 된다. 또한 컴퓨터에 외장하드로 연결할 경우 미약하나마 충전도 된다. 옆에 보이는 일반 USB단자를 이용하여 다른 제품을 충전할수도 있고, USB로 연결된 제품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백업할수도 있다.

단지 백업만?

L1020064.jpg

앞서 언급했듯, WIFI지원은 무선으로 백업된 데이터들에 접근이 가능하게 했다. 폰카가 아무리 좋아졌다 하지만, 양질의 사진은 역시 카메라로 찍어야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1인이다. 이 제품을 이용해서 내 아이폰에서 바로 SNS로 사진을 공유할수도 있고, 프린트아웃 할 수도 있다. 허브 역할을 해주던 PC의 기능을 WD Mypassport Wireless Pro가 대신하기에 이 모든 것이 가능한 것이다. 불안한것은 오랫만에 접하는 HDD인지라 내구성에 문제가 있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 이 막연한 걱정 밖에 없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